블로그 스팟 썸네일 안보이는 증상
블로그스팟(Blogspot)은 구글의 강력한 검색 엔진 최적화(SEO)를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때로는 국내 블로그 서비스와 다른 시스템으로 인해 예상치 못한 오류에 직면하기도 합니다. 그중 가장 흔하고 해결하기 까다로운 문제가 바로 메인 페이지 썸네일(대표 이미지)이 일부 또는 전체가 보이지 않는 현상입니다.
이 문제는 원인이 매우 다양하여 짧게는 몇 시간, 길게는 며칠 동안 블로그 운영자를 괴롭히곤 합니다. 본 가이드는 블로그스팟을 성공적으로 운영하며 썸네일 오류를 겪었던 경험을 바탕으로,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고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는 6가지 전문적인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목차
- 이미지 사이즈 및 비율(가로 폭) 체크
- 파일 용량 및 웹 최적화
- 점프 브레이크(Jump Break) 필수 사용
- 특정 파일명 충돌 문제 해결
- 새로 추가: 브라우저 캐시 및 템플릿 호환성 확인
- 새로 추가: 게시물 메타 태그 및 크롤링 상태 점검
이미지 사이즈 및 비율(가로 폭) 체크
블로그스팟은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플랫폼이기에, 국내 블로그처럼 매우 큰 고해상도 이미지를 사용할 경우 썸네일 생성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 권장 사이즈 제한: 업로드되는 사진의 수량을 최소화하고, 특히 가로 사이즈를 사용하시는 블로그의 최대 가로 폭 이하로 수정해야 합니다. (예: 블로그 가로 폭이 800px이라면, 이미지도 800px 이하로 설정)
- 팁: 일반적으로 가로 1080px 정도의 사이즈로 고정하여 이미지를 수정하는 것이 안정적이며, 이보다 큰 이미지는 썸네일 출력을 방해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파일 용량 및 웹 최적화
포스팅에 첨부되는 이미지 파일의 총 용량이 너무 클 경우, 로딩 지연을 넘어 썸네일 추출 실패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총 용량 권장 기준: 포스팅 1개당 업로드되는 이미지 파일의 총 용량은 블로그스팟 공식 권장 기준보다 훨씬 작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개별 이미지 최적화: 모든 이미지는 개별 용량을 500KB 이하로 조절하는 것이 안정적입니다. 웹에 최적화된 해상도인 72dpi에 가로 1080px 기준으로 용량을 낮추면, 보통 200~400KB 선에서 노이즈를 최소화한 최적화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점프 브레이크(Jump Break) 필수 사용
점프 브레이크(Jump Break)는 블로그스팟 에디터의 다양한 아이콘 옵션 중 줄이 그어진 아이콘(──)을 의미하며, 이는 포스팅을 요약 문단과 본문 문단으로 나누는 역할을 합니다.
- 썸네일 인식 문제 해결: 점프 브레이크는 메인 페이지 목록에서 썸네일과 요약 텍스트를 개별적으로 정확하게 인식하게 만드는 핵심 요소입니다.
- 필수 습관화: 특히 첨부 자료가 많거나 글이 긴 포스팅의 경우, 제목 및 첫 문단 아래에 점프 브레이크를 반드시 삽입하여 시스템이 첫 번째 이미지를 썸네일로 명확히 인식하도록 습관화해야 합니다.
특정 파일명 충돌 문제 해결
매우 황당하지만 실제로 썸네일 오류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포스팅의 키워드와 유사하거나, 이전에 사용했던 파일명과 동일한 이름의 이미지 파일을 다시 사용할 경우 시스템 충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문제 증상: 포스팅 본문은 정상 출력되는데, 메인 페이지 썸네일만 흑백으로 나오거나 출력이 안 되는 현상. 이미지 사이즈, 용량을 변경해도 해결되지 않습니다.
- 해결책: 첨부할 이미지의 파일명을 완전히 무의미한 영문+숫자 조합 (예: a_1.jpg, temp_001.png)으로 변경 후 다시 업로드하면 즉시 썸네일이 정상 출력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블로그스팟 시스템이 파일명을 포스팅 키워드와 연관지어 오류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새로 추가: 브라우저 캐시 및 템플릿 호환성 확인
썸네일 오류가 발생했을 때, 내 PC에서만 보이는 오류일 수 있습니다.
- 브라우저 캐시 삭제: 썸네일 오류가 발생한 포스팅을 수정한 후에는 반드시 크롬, 엣지 등의 브라우저 캐시와 쿠키를 삭제하고 확인해야 합니다.
- 템플릿 호환성: 사용하고 있는 블로그스팟 템플릿(스킨)이 최신 버전의 HTML5 표준을 준수하지 않거나, 특정 이미지 로딩 스크립트와 충돌할 경우 썸네일 오류가 발생합니다. 다른 템플릿으로 임시 변경하여 썸네일 출력 여부를 테스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새로 추가: 게시물 메타 태그 및 크롤링 상태 점검
썸네일이 아예 인식되지 않는 근본적인 원인은 로봇이 이미지를 크롤링하지 못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 메타 태그 확인: 해당 게시물의 HTML 편집 모드에서 head 또는 body 태그 내부에 이미지를 불러오는 스크립트나 noindex 관련 코드가 잘못 삽입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Google Search Console (구글 서치 콘솔) 점검:
- 썸네일 오류가 난 포스팅의 URL을 서치 콘솔의 'URL 검사' 도구에 입력합니다.
- '색인 생성 요청'을 다시 실행하여 구글 봇이 해당 포스팅과 이미지를 재크롤링하도록 유도합니다.